문화적 접근 [Cultural approaches]

Cristina Marinetti
번역 이 향
Table of contents

흔히 ‘문화적 전환(cultural turn)’(참고: The turns of Translation Studies)이라 불리는 문화적 접근은 번역학 내에서 90년대 초 입지를 굳힌 이론적, 방법론적 전환을 일컫는다. 이는 주로Bassnett, Lefevere, 뒤이어 Venuti 등이 수행한 연구와 연결지어진다. 기본적으로는 기술번역학 (Descriptive Translation Studies), 그 중에서도 특히 ‘조작학파(Manipulation School)’ (Hermans 1985)의 논의를 토대로 하되, 목표중심주의(Target-orientedness)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폴리시스템 이론 (polysystems theory) 이나 Toury의 번역규범 (norms of translation) 논의와 일맥상통한다. 그러나 문화적 접근은 인문과학, 때로는 이를 넘어선 학문영역에서 폭넓게 개진된 인식 전환의 결과물이다. ‘실증주의’에서 ‘상대성’으로의 이동, 그리고 특정 현상의 보편적 기준들을 찾아낼 수 있다는 믿음에서 벗어나서, 모든 현상이 관찰자에 의해 규정된다고 까지는 할 수 없을지언정, 적어도 그의 시선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인식으로의 이동이 그것이다. 애초 문학연구에서 출발한 문화적 접근은 이후 그 주역들이 ‘암묵적으로 모든 종류의 번역을 대상으로 삼는다’(Snell-Hornby 1990: 84)고 선언한 바, 문학과 비문학의 경계를 넘어섰다고 볼 수 있다. 문화적 접근이 번역학(Translation Studies)에 핵심적으로 기여한 바를 꼽는다면, 언어학적 접근(참고: 언어학과 번역 (Linguistics and translation))을 비판한 것, 그리고 번역에 대한 이론화 작업이 등가 개념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인식을 비판한 것을 들 수 있다. Bassnett과 Lefevere에게 있어서 번역은 기본적으로 맥락의존적인 것이다. 번역은 역사에 속하는 사실이자 목표문화의 산물이므로, 서로 다른 언어 사이의 대응을 언어 차원에서 매핑하는 식으로 설명될 수도, 품질이나 정확성에 대한 일반적 잣대로 평가할 수도 없다(1990: 3). 이렇듯 논의의 초점을 언어에서 문화로 이동시킨 결과, 의미 있는 이론적 성장이 가능해졌다. 가령 푸코의 ‘권력(power)’, ‘담론(discourse)’ 등의 개념 을 활용하여 번역을 구성하는 맥락과 조건을 재정의할 수 있게 되었다(1990: 6). Bassnett 과 Lefevere의 편저 Translation, History and Culture 에는 번역의 문화적 위력을 보여주는 다양한 연구들이 실려 있다. 번역사는 자신의 이데올로기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의도적으로 텍스트를 조작하기도 하고(1990 : 88), 목표문화에 수용될 수 있게 목표문화 내의 지배적 담론을 모방하기도 한다(1990: 57). 번역은 문화를 구축하는 강력한 수단이자, 신생국가가 인접국가에 견주어 자국의 정체성을 형성시키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1990: 65). 또한 번역은 이국의 저자, 텍스트, 혹은 문화 전체에 대한 허구적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이 지점이 바로 문화적 접근이 단순히 이론적 차원에서의 전환을 넘어선 방법론적 전환으로 인식되는 대목이다. 문화적 접근은 번역학을 새로운 영역으로 이동시켰다. 새로운 질문이 던져지고, 연구 대상은 재정의되었다. 이제 원천문화와 목표문화의 기호망 안에 자리잡고 있는 텍스트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게 된 번역학은 언어학적 접근을 활용하는 동시에 넘어설 수 있게 되었다(Bassnett & Lefevere 1990: 12).

Full-text access to translations is restricted to subscribers. Log in to obtain additional credentials. For subscription information see Subscription & Price.

참고문헌

Bassnett, Susan & Lefevere, André
(eds) 1990Translation, History and Culture. London: Pinter.  TSB
1998Constructing Cultures.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TSB
Hermans, Theo
(ed.) 1985The Manipulation of Literature. Beckenham: Croom Helm.  TSB
Lefevere, André
1985 “Why Waste our Time on Rewrites.” In The Manipulation of Literature, Theo Hermans. Beckenham: Croom Helm.  TSB
1992Translation, Rewriting and the Manipulation of the Literary Fame. London: Routledge.  TSB
Pym, Anthony
2010Exploring Translation Theories. London: Routledge.  TSB
Singh, Rajendra
2007 “Unsafe at any speed? Some unfinished reflections on the ‘cultural turn’ in Translation Studies.” In Translation – Reflections, Refractions, Transformations, Paul St-Pierre & Kar C. Prafulla (eds), 73–84. Amsterdam: John Benjamins  BoP
Snell-Hornby, Mary
1990 “Linguistic Transcoding or Cultural Transfer? A Critique of Translation Theory in Germany.” In Translation, History and Culture, Susan Bassnett & André Lefevere (eds), 79–86. London: Pinter.  TSB
Venuti, Lawrence
1995The Translator’s Invisibility: A History of Translation. London: Routledge  BoP
1998The Scandals of Translation: Towards an Ethics of Difference. London: Routledge.  BoP

추가 독서

Bachman-Medick, Doris
2009 “Introduction: The Translational Turn.” Translation Studies 2 (1): 2–16.Google Scholar
Casanova, Pascale
2007The World Republic of Letters. Translated by M. B. Bevoise. Harvard: Harvard University Press.Google Scholar
Gentzler, Edwin
2001Contemporary Translation Theories.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TSB
Tymoczko, Maria & Gentzler, Edwin
(eds) 2002Translation and Power. Amhers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TSB
Venuti, Lawrence
2008 “Translations, Simulacra and Resistance.” Translation Studies 1 (1): 18–33.Google Scholar